
다음 구독자 2주간 변화이다. 7월 27일 484만에서 8월 10일 491만으로 약 7만명 증가했다.

다음 구독자 주간 변화이다. 전체 상위 10위권 매체사로 평균 +700여명, +0.53% 증가했고 순위 변화는 없다.
다음 구독자 1, 2분기 상위 10위권 분야별 합계 순은 (2분기말 기준) ① 방송(85만), ② 종합(74만), ③ 경제(63만), ④ 인터넷(48만), ⑤ 매거진(33만), ⑥ 스포츠(29만), ⑦ 전문지(26만), ⑧ 연예(20만)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음 구독자의 방송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85.1만으로 1분기 보다 9.6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 'SBSBiz' +7단계, 'MBN' +1단계 상승했고, 'KBS', '연합뉴스TV' -2단계, 'MBC연예' -3단계 하락했다. 종합지 분야는 74.6만으로 1분기 대비 9.4만 증가했고 순위는 '한국일보', '서울신문', '문화일보' 등 +2단계, '국민일보' +1단계 상승했고, '동아일보', '세계일보' -1단계 하락했다.

경제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63.5만으로 1분기 보다 9.5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는 대체적으로 +1단계에서 +4단계 고루 상승했다. 인터넷 분야는 48.7만으로 1분기 대비 4.5만 증가했고 순위는 '판타프레스'가 +1단계 상승, '프레시안' -5단계, '미디어오늘' -3단계, '디스패치' 1단계 하락했다.

매거진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33.5만으로 1분기 보다 1.4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는 대체적으로 -1단계에서 -7단계로 전체적으로 하락했다. 스포츠 분야는 29.5만으로 1분기 대비 3.5만 증가했고 순위는 '엑스포츠뉴스', '인터풋볼'이 +4단계 상승외의 매체사는 순위 변동이 심했다.

전문지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26.5만으로 1분기 보다 2.3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는 'bnt뉴스' +8단계, '이코노비조선', '투어코리아' +2단계, '헬스조선' +1단계 상승했고, '기자협회보' -3단계, '뉴스타파' -2단계, '정책브리핑', '동아사이언스', '하이닥' -1단계 등 하락했다. 연예 분야는 20.2만으로 1분기 대비 2.9만 증가했고 순위는 '스타뉴스' +5단계, 'TV리포트' +4단계, '뉴스엔', '텐아시아' +3단계, '티브이데일리' +1단계 상승했고, 'OSEN', '아이즈' -1단계 하락했다.
이명규 ICT연구소 mglee@kode.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