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구독자 2주간 변화이다. 7월 20일 4674만에서 8월 03일 4696만으로 약 22만명 증가했다.

인스타그램 구독자 주간 변화이다. 전체 상위 10위권 매체사로 평균 +9900명, +0.64% 증가했고 순위 변화는 없다.
인스타그램 구독자 1, 2분기 상위 10위권 분야별 합계 순은 (2분기말 기준) ① 매거진(1855만), ② 인터넷(1671만), ③ 전문지(485만), ④ 연예(191만), ⑤ 방송(117만), ⑥ 지역(56만), ⑦ 종합(24만), ⑧ 경제(23만) 순으로 분석되었다.

매거진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1855만으로 1분기 보다 37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 '마리끌레르' 1단계 및 '리빙센스' 2단계 상승, '엘르' 1단계 하락했다. 인터넷 분야는 1671만으로 1분기 대비 16만 증가했고 순위는 '인사이트북스'가 1단계 상승, '인사이트뷰티' 및 '인사이트뮤비' 가 각각 1단계 하락했다.

전문지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485만으로 1분기 보다 23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 '전원속의내집' 1단계 상승, 4개사 보합, 5개사는 1, 2단계씩 하락했다. 연예 분야는 191만으로 1분기 대비 5만 증가했고 순위는 'MBC엠' 2단계 상승, '앳스타일' 및 'MBC므흐즈' 가 1단계 하락했다.

방송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117만으로 1분기 보다 7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는 'MBC' 7단계 상승 외에 5개 업체가 1, 2단계씩 상승했다. 지역 분야는 56만으로 1분기 대비 2만 증가했고 순위는 '전남일보'가 100단계 깜짝 상승 외에 5개 업체가 하락했다.

종합 분야 분기별(Q1, Q2) 상위 10위권 합계 24만으로 1분기 보다 0.1만 증가했다. 분기 순위는 대부분 하락했다. 경제 분야는 23만으로 1분기 대비 0.8만 감소했고 순위도 대부분 하락했다.
1, 2분기 인스타그램 구독자에 대해 8개 카테고리별 상위 10원권을 분석 결과, '매거진', '인터넷', '전문지', '연예' 분야 증가했고 특히 '방송' 분야는 대부분의 매체사가 상승했다. 반면에 '종합' 및 '경제', '지역' 분야는 상대적으로 하락했다.
이명규 ICT연구소 mglee@kode.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