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구독자 2주간 변화이다. 지난주 하강 국면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했다. 5월 6일 바닥에서 11일 18,000여명 증가했다.

네이버 구독자 주간 변화이다. 상위 10위권 매체사 평균 200여명 증가했고 순위 변화는 없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2주간 구독자 변화이다. 페이스북은 변화가 미미하고, 인스타그램은 소폭 증가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월간 변화이다. 상위 10위권 페이스북은 'KBS연예' 순위가 1단계 내려와 7위를 했고 구독자는 0.05% 증가했다. 인스타그램은 상위 10위권 매체사 평균 34,800여명 1.81% 증가했다. 특히 '코스모폴리탄' 잡지사가 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채널과 네이버밴드의 2주간 변화 그래프이다. 카카오채널은 연속 하향 추세에서 5월 8일 반등했다. 네이버밴드는 소량 증가 추세이다.

카카오채널과 네이버밴드의 월간 변화이다. 상위 10위권 카카오채널은 평균 -500여명 -0.3% 감소했다. 네이버밴드는 평균 200여명, 0.36% 증가했다.
눈 뜨고 코 베이는 '약탈의 시대'이다. 네이버라인 이야기이다. 일본의 전략은 1억이 넘는 동남아권 라인 사용자의 사업이다.
13년 쏟아부은 네이버는 낙동강 오리알이다. 진짜 돈버는 데이타 산업은 일본 정부가 주도적으로 약탈하고 뒤엔 손마사요시(손정의) 찐 일본인이 꿩먹고 알먹겠다는 계락이다.
벌써 라인의 한국 노동자는 절치부심이다. 국가는 나라의 땅, 하늘, 바다만 지키는 것이 아니다. 국민과 기업의 재산, 생존을 보호하는 임무가 있다. 하나의 잘못된 단추가 다른 나라에도 똑 같은 단초를 제공하는 어이없는 실수하는 것이다. 정부는 당장에 전면에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명규 ICT연구소 mglee@kode.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