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구독자 5월 셋째주 리포트 - 2023년 20주간

5월 세째주, SNS 플랫폼 구독자 네이버, 팟빵, 오디오클릭, 카카오채널(뷰), 플립보드 등을 분석했다.
이명규 ICT연구소 2023-05-21 18:36:07

5월 셋째주 네이버와 다음의 2주간 변동 그래프이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네이버 구독은 연속 하락 추세에서 5월 19일(금) 큰 반등하는가 싶더니 다시 하락으로 들어섰다. 반면에 다음 구독은 소폭이지만 계속 상승 추세이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네이버 구독자 주간 변동표이다. 상위 10원권 매체사중 대부분 언론사가 하락 추세이고 평균 -0.03% 감소했다. 5월 19일 큰 반등이 있었으나 20일 다시 하락했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다음 구독자 주간 변동표이다. 대체적으로 소폭 증가 추세이고, 상위 10원권 매체사의 경우 평균 0.42% 증가했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카카오채널의 구독자 주간 변동표이다. 상위 10원권 매체사중 2개사가 하락했고, 8개사는 보합추세이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플립보드 구독자 주간 변동으로 큰 변동없이 소폭 증가했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구독자 2주간 그래프로 팟빵은 5월 16일 '여주신문'의 매체 추가로 상승했다. 플립보드는 소폭이지만 계속 상승 추세이다. 아래표는 주간 변동이 없어 월간 변동을 분석했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팟빵의 구독자 월간 변동표이다. 상위 10위권 매체사중 대부분 보합이나 'TBS'만 감소했다.


* KODES ICT연구소. 2023.05.20

오디오클릭의 구독자 월간 변동표이다. 월간 추세로 'MBC'가 1.76% 증가했고 대부분의 매체사가 보합 추세이다.

포털 네이버의 올해 1분기 모바일 페이지뷰(PV)가 전년 대비 45.5% 감소했다고 합니다. 관련하여 19개 매체사 PV가 감소했고 50%이상 급락한 매체사도 6곳에 달한다고 합니다.

급락 요인으로 '네이버 뉴스 소비 감소', '대형 이벤트 없음', '코로나19 엔데믹', '젊은세대의 플랫폼 이동' 등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뉴스 트래픽 감소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길 바랍니다.


이명규 ICT연구소 mglee@kode.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서울시스템의 언론사 최신동향

서울시스템의 언론사 최신동향

2024년 한국언론정보기술협회 NAVER GAK 세미나한국언론정보기술협회에서는 지난 10월 25일 세종시 NAVER 데이터센터 각 에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