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정책리포트 제5호 '미들웨어: 플랫폼 뉴스 이용자의 선택권 확대를 위한 기술적 방안' 발간
2022-11-07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의 조사는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의뢰로 영국의 전문 조사회사 유고브(YouGov)가 2022년 1월 11일부터 2월 21일까지(한국 2022년 1월 20일부터 2월 1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46개국에서 조사했으며, 조사표본은 총 93,432명(한국 2,026명)이다.
조사대상은 국가별로 연령, 성별, 거주지역을 고려해 할당표집했다.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인도, 인도네시아, 케냐, 말레이시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필리핀, 루마니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튀르키예를 제외한 국가에서는 교육수준도 함께 고려됐다. 또한 호주,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스웨덴, 노르웨이, 미국, 영국에서는 조사시점 직전에 있었던 전국 단 위 선거에서의 투표 경험을 토대로 정치성향을 고려해 할당했다.
인도, 케냐,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표본은 각국의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한 한계가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조사가 온라인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응답자는 젊은 층의 영어 사용 인구를 대표한 경향이 있다. 케냐와 나이지리아의 표본은 만 18~50세로만 구성됐다.
이 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전체 인구가 아니라 인터넷 사용 인구를 대표하는 결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58%)이나 인도(54%)처럼 인터넷 보급률이 낮은 국가에서는 조사결과가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국가 간 조사결과를 비교할 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회상(recall)에 의존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의 특성상 조사결과가 웹 트래킹(web-tracking) 과 같은 방법에 바탕을 둔 산업 데이터와 다를 수 있다.
각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인구 총조사나 산업 통계에 근거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됐다. 결과는 주로 백분율(%)로 제시했다.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였기 때문에 세목과 총계가 일치하지 않거나 그래프내 전체 비율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문항들은 ‘기타’나 ‘모름’, ‘무응답’을 분석에 포함하거나 결측값으로 처리했다. 응답자 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했기 때문에 비율을 단순 사례수로 치환하여 해석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보안 전문가 <정 순 한 : whitebee@kometec.co.kr >
댓글
(1) 로그아웃